서론          

  어깨관절은 인체에서 움직이는 범위가 가장 큰 관절로 그에 따라 움직일 때 손상을 입기 쉽다.

불안정성은 주변 어깨관절의 기능부전 혹은 상완와 관절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인대, 관절와순, 근육 등에 단축, 손상 또는 약화 등으로 발생한다.

 

병력

치료 전 환자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호소할 때 어깨 불안정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견갑골이나 후방 관절면 어깨 앞 부위가 아파요 혹은 불편해요

팔을 머리 위로 들때 위팔 감각저하, 저림(피부 분절과 무관한 양상

어깨가 불안정한 느낌이 들어요, 자꾸 소리가 나고 불편해요.


 

확인검사

 환자가 위에서의 증상을 호소한다면 실제 어느 면에서 불안정성인지 확인하기 위해 검사(special test)를 실시한다.

 

1) 전방 불안정 검사 (Apprehension Test)

①자세

상완골이 견봉보다 앞으로 나온자세

 

②검사

https://www.youtube.com/watch?v=jZ29dAXKA5M

전방 불안정 검사 (Apprehension test)

 

2) 후방 불안정 검사 

https://www.youtube.com/watch?v=txARar71h5E&t=63s

 

3)하방 불안정 검사 혹은 sulcus sign관찰

https://www.youtube.com/watch?v=vV7u2JtdYWI


 

위 검사까지 모두 양성으로 나타나면 어깨관절 불안정으로 진단할 수 있고, 회전근개 손상과 동반되어 나탈수 있기 때문에 치료 시 같이 고려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운동이 필요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