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사 혹은 의료계 종사자라면 평가가 중요하다는 건 모두 알고 계실 겁니다.
저 또한 그렇게 생각하고 공부했지만, 막상 환자가 아프다고 오면 뭐부터 해야 할지 허둥지둥
했던 기억이 납니다.
x-ray, 움직임 검사, special test 등 무수히 많은 평가 속에서 어떤 평가를 이용해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어떤 과정으로 평가하고 증상에 대해 추론할 수 있는지
같이 한 번 알아봅시다!
1. 문진
문진이란 치료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증세나 가족력 등을 물어보는 행위입니다.
이 과정에서 정보의 80%를 얻는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당장 수술이 필요하거나
암이나 다른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의사에게 의뢰를 할 수 도 있습겁니다.
예를 들어 요통에 다리가 저린 환자가 내원했습니다.
주로 아침에 아프고, 허리를 숙일 때 더 악화된다고 하면 우리는 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리가 저린 위치(피절), SLR 등의 special test나 MRI상태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을 겁니다.
이처럼 문진은 치료의 정보뿐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평가하고 치료할지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환자에게 어떤 것들을 물어봐야 할까요?
- 어디가 아픈지?
- 통증이 심해지거나 혹은 편한 자세
- 통증의 양상(저림, 날카롭게 아픔, 깊숙이 아픔)이나 저린 증상이 있는지?
- 자주하는 습관 및 행동 혹은 직업
여러 가지 있지만 위에 질문은 필수라 생각하며, 호전이 더디거나 다른 의심이 들면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는 질병이나 가족력, 복용하고 있는약 등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
병원에 근무하면 몇 가지는 이미 차트에 쓰여있을 겁니다.
참고해서 부족한 부분을 물어보시면 되겠습니다.
2. 부위별 환자의 병력
- 경추 : 두통은 없는지? - 경추기인성 두통은 상부경추와 후두하근 scm와 관련될 확률이 높습니다. 두통이 일어나는 부위와 연관통이 일치하는지 확인해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 요추 : 아침에 증세가 악화된다면 디스크, 활동하면서 점차 풀어진다면 돌기사이관절의 관절염, 활동후에 아프면 허혈성 통증일 수있습니다.
- 골반 : 일할때 주로 어떤 자세로 있는지? - 서있거나 혹은 앉아있을 때 자세불균형은 천장관절에 스트레스를 줍니다.
대략적으로 설명했지만 문진은 감별진단하는데 있어 상당히 큰 도움을 줍니다. 하나더 예를 들어
목을 움직일때 저리는 경우 팔을 머리위로 들고 이마에 손을 짚게하고 움직였을때 증상이 경감된다면
nerve root pain을 의심할 수 있고, 변화가 없다면 관절기능의 문제거나 관절사이 뼈가 형성이 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을 글에 담을수는 없지만 증상일 꼼꼼히 체크하고 기록해 뒀다가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이환자가 왜아플지 고민하고 치료에대한 계획을 세운다면 더 좋은 치료를 제공할수 있을겁니다.
다음은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뭘해야할지 알아보는 시간 같이 가져보겠습니다!
'물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테오파시란? (0) | 2023.12.08 |
---|---|
물리치료사에게 추천하는 sns 채널 (0) | 2023.11.27 |
저연차, 매너리즘에 빠진 물리치료사에게 필요한 3가지 (0) | 2023.11.20 |
도수치료 이렇게 하지마세요..(과거이야기) (0) | 2023.11.06 |
병원에서 손해보지 않는법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