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연히 유튜브를 통해서 본 물리치료사를 소재로 한 드라마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나름 재미있으면서

고증도 잘되어있고,  우리들의 현실을 보자니 슬펐습니다ㅠ

https://www.youtube.com/watch?v=J849i1fUTog

라이프에이드 이기적인 물리치료사

 먼저 환자인 김아영님(극중 정지수)은 진료를 보고 도수치료를 처방받아 치료를 받습니다. 그런데 이리저리 물어보더니 

계속 평가와 설명만하는 치료사와 영혼 없는 눈빛에 김아영님.. ㅋㅋ 치료시간까지 넘겨가며 열심히 하지만

수기치료는 몇 분만 받고 나온 환자의 눈엔 의아함만이 가득합니다. 영상의 댓글에서는 정말 좋은 치료사다,

저런 분한테 자세히 설명받고 싶다라고들 하시지만.. 실제 환자 중 10에 2명도 찾기 힘듭니다... 

과거에 이런 상황에 저도 씁쓸해하며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물었습니다. 이렇게 하는 게 아닌 건지, 마사지로 그냥

풀어줘야 하는 건지...  스스로 고민하는 과정을 거치며 얻은 저만에 답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문진

 우선 문진이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과거력, 가족 등 치료 및 평가를 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 행위입니다.

치료에 80%는 문진을 통해 답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김아영님은  영상에서 팔에 불편감을

호소합니다. x-ray(x-ray상 이상없다했으니 디스크확률이 낮아짐), 저리는 부위가 어디인지(dermatome),

통증이 나타나는 시간대(디스크는 주로 아침) 등을 고려해서, 어떤 평가를 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영상에서 적절하게 잘 평가하였지만 이러한 문진을 통해 한두 가지 평가만 하면, 조금이라도 환자를

덜 귀찮게 하고,  시간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2. 설명

 환자가 손이 저린 직접적인 원인만 파악하고 거기에 대한 설명만 간결하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상처럼 흉곽출구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이 사각근인 것을 확인하였으면, 사각근과 인접 근육 등을

우선 치료하고 근본적인 원인(자세, 호흡)은 그 후에 설명하고 치료해도 늦지 않습니다.

예시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나 집에 불이 났는데 어디에 불이 났는지와 불이 끄는 게 우선이지,

집이 불이 나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소재, 구조, 사용자 부주의)등은 후순위 일 것입니다.

환자가 뜬구름 잡는 소리로 느끼지 않게 필요한 부분만 간결하게 설명하고 궁금한 게 있으면 

그때 자세히 설명해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몇 가지만 고쳐도 치료시간에 여유가 생기고, 남는 시간에 치료를 더 하거나 재평가를 통하여

ROM이나 근력, 통증이 감소했는지 확인하는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 시스템적인 문제 또한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스템을 바꾸기 힘들고, 탓하지 않고 잘 하는 치료사도 정말 많습니다.

남탓하지말고 내가 환자에게 어떻게 다가가야하는지 항상 고민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