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도서는 환자가 가진 증상이나 질환 등에 이해를 통해 효과적인 문진을, 정확한 평가와 치료를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임상적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다양한 기법으로 응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정보는 너무 방대하여 아무 책이나 읽을 수 없기에 근골격계 물리치료사를 위해서 내가 읽었던 책중에 임상에서 많은 도움을 얻은 책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출처 : 우리집 책장

1. 뉴만

  근골격계뿐 아니라 움직임을 공부하는 물리치료사에게는 필수적인 책입니다. 하지만 처음 공부하는 선생님에게 당장

치료해야하는데 모든 내용을 다 읽기란 조금은 벅찰 수 있습니다. 신졸 때 혼자서 오기로 매일 한 시간 이상 공부

했었으나, 지치지않고 실전에 적용하기에 수월하기 위해 해부학, 근육학위주로 시작하여 관절이나 신경, 인대 등으로 반복해 보면서 확장해 나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교육을 들을 때, 환자를 치료할 때 기능해부학 지식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읽으시기 바랍니다.

 

2. 얀다의 근육불균형의 평가와 치료

 근골격계 환자에게도 신경계의 관점으로 바라보게 해준 또한 신경계를 경험하기 위해 이직하게 한 책입니다. 저자 얀다는 정도는 약하지만, 중추신경 질환인 뇌성마비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근육긴장과 약화 패턴이 만성허리통증 환자들에게도 관찰됨을 근거로 신경학적인 패러다임을 주장했습니다. 또한 근육의 불균형은 비정상적인 관절위치나 운동으로부터 야기되는 변화된 고유수용성감각 정보로 인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론뿐 아니라 움직임 패턴에대한 평가와 중재법 등 실전적인 내용도 포함하고 있어 사고를 확장하는데 좋은 책입니다.  생체역학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공부하고자 하는 분에게 추천드립니다!

 

3.  운동손상 증후군

책에서 이야기하는 주된 개념으로 반복적인 움직임과 지속적인 자세는 저직변화와 움직임의 패턴을 변환시키는 것으로,

자세나 움직임 패턴에 따라 나타나기 쉬운 손상이나 보상적 움직임등이 잘나와있어 실전적으로 적용하기에 아주 유용한 책입니다. 환자의 증세에 따라 필요한 자세 및 움직임 평가를 실전적으로 알고자하는 분에게 추천드립니다! 

비슷한 책으로 운동역학조절은 운동손상증후군에 비해 움직임 패턴에 초점을 둔 책으로 관심이 있으시면 같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4.  부정렬 증후군

 골반에 부정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병리적, 기능적인 문제들에 대해 자세하게 나온 책입니다. 골반에 대한 기본적인 해부학, 움직임, 골반 주변에 미치는 영향, 골반에 대한 여러 가지 평가법 등이 자세하게 나와있어 학회에서 배웠던 평가나 치료가 잘 이해되지 않았던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골반의 움직임 및 평가법들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분에게 추천드립니다! (4장까지만 추천)

 

 오늘은 임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한 책을 위주로 추천하였습니다. 이론이 없는 테크닉은

알맹이가 없고, 임상적인 경험과 정확한 테크닉이 없는 이론은 그저 생각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이론과 palpation, 테크닉 연습 그리고 임상추론을 통해 균형 잡힌 물리치료사가 되시면 좋겠습니다.

 

+ Recent posts